뉴욕증시 9월 첫날 급락…트럼프 관세 위법 판결·국채금리 상승 ‘이중 압박’

투데이뉴스
신고
공유
2025-09-03


미국 뉴욕증시 3대 지수가 9월 첫 거래일인 2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세로 출발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정책이 법원에서 위법 판정을 받으면서 재정 불안이 커졌고, 이에 따른 국채 금리 상승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한 가운데 계절적 약세까지 겹치며 투자심리가 위축된 모습이다.

오전 11시34분 현재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89.04포인트(1.07%) 밀린 45,055.84를 기록했다. S&P500 지수는 86.35포인트(1.34%) 내린 6,373.91, 나스닥지수는 356.67포인트(1.66%) 급락한 21,098.89를 가리키고 있다.
앞서 지난달 29일 미 연방순회항소법원은 트럼프 행정부가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에 근거해 전 세계에 부과한 상호관세가 위법하다고 7대4로 판결했다. 이에 따라 관세 환급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재정 부담 확대 우려가 커졌고, 국채 발행 증가 전망이 금리 상승을 촉발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상고 방침을 밝히면서 최종 판단은 대법원으로 넘어갔다.

채권시장에서 미 국채 금리는 장단기물을 가리지 않고 오름세다. 30년물은 5bp(1bp=0.01%포인트) 뛴 4.96%를 기록했으며, 10년물은 2bp 오른 4.27%, 2년물은 3.64%로 2bp 상승했다. 개장 직후보다는 상승폭이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에드 야데니 야데니리서치 대표는 “관세 수입으로 재정적자 축소 기대가 사라진다면 채권 자경단이 다시 움직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계절적 요인도 증시에 부담을 주고 있다. S&P500 지수는 지난 5년간 9월 평균 4.2%, 최근 10년간은 2% 넘게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투자자들은 이번 주 잇따라 발표될 고용 지표를 주시하고 있다. 핵심은 오는 5일 발표되는 8월 고용보고서다.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비농업 신규 고용은 7만5천 명 증가로 예상돼, 7월(7만3천 명)보다 소폭 늘어나지만 넉 달 연속 10만 명을 밑돌며 팬데믹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실업률은 7월 4.2%에서 8월 4.3%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이보다 앞서 3일에는 7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 가, 4일에는 ADP 민간고용·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가 공개된다. 같은 날 연준의 경기 진단 보고서인 베이지북도 발표될 예정이다.

투데이뉴스 양지철 기자<Copyright ⓒ 투데이뉴스.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기 컨텐츠